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검색
영상
방구석 1열, 즐감 1순위

축제

[정악단] 정악, 인생을 담아낸 울림

[정악단] 정악, 인생을 담아낸 울림

  • 영상출처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등록일
    2022-05-23

※ 해당 영상 제공처에서 영상 서비스를 중단할 경우 감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막

“몸에 스민 예술, 삶에 녹인 전통”
(Court Music Orchestra), Court Music, vibration containing our life
본 영상은 국립국악원 개원 7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국악원 소속 예술단의 정체성과 예술세계를 조명하고, 나아가 무대에 펼쳐지는 주요 레퍼토리들을 소개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Arts absorbed into our body, tradition melted into our life”
In commemoration of 70th anniversary of National Gugak Center, this video has been produced in order to show the identity and artistic world of arts company belonging to National Gugak Center and further introduce the main repertoires to be shown on the stages.

“몸에 스민 예술, 삶에 녹인 전통”

(Court Music Orchestra), Court Music, vibration containing our life

본 영상은 국립국악원 개원 7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국악원 소속 예술단의 정체성과 예술세계를 조명하고, 나아가 무대에 펼쳐지는 주요 레퍼토리들을 소개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Arts absorbed into our body, tradition melted into our life”

In commemoration of 70th anniversary of National Gugak Center, this video has been produced in order to show the identity and artistic world of arts company belonging to National Gugak Center and further introduce the main repertoires to be shown on the stages.


----------

“정악, 인생을 담아낸 울림”

성장하고 웅장해지는 한 사람의 인생을 정악단의 음악에 담았다. 

피리독주곡 상령산, 생황단소양금 합주 '수룡음', 가곡 '태평가', 대취타, 종묘제례악으로 점차 확대되는 음악, 악기 편성처럼

피리 소리에 반응하던 어린 소년의 인생이 완연한 국악인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담았다. 


“Court Music, vibration containing our life”

The life of one person who has grown up and become grand has been put into the Court Music Orchestra’s music


It shows a story in which a little boy listened to the piri sound in Sangyreon Mountain and grew to become a Gugak artist while listening to the music like the music become grander such as in the order of Suryongeum, Taepyeongga, Daechuita and Jongmyojeryeak(royal ancestral rites music).

As such, in order to show various repertoires by Court Music Orchestra of National Gugak Center, the main repertoirs of Court Music Orchestra of National Gugak Center have been contained here. 


----------

00:00 〈정악, 인생을 담아낸 울림〉 시작

00:25 피리독주 ‘상령산’ “Sangyeongsan” by piri solo

상령산은 ‘영산회상’ 중 첫 번째 곡에 해당하며, 느리고 완만한 선율의  곡이다. 이 곡은 관현합주곡으로 주로 연주되지만 독주곡으로 연주할 경우에는 연주자의 자유로운 음악적 해석이 반영된다. 상령산의 틀에서 연주자가 표현하는 다양한 시김새 연주는 정형성에서 벗어난 독창성으로 평가받는다. 

“Sangnyeongsan” is the first piece of a suite, “Yeongsanhoesang” (Buddha's Sermon on Vulture Peak Mountain) that has a slow and soft melody. This piece is usually played by the orchestra but is also played by a solo instrument, where the performer reflects his or her free musical interpretation. 


01:34 생황, 단소, 양금 합주 ‘수룡음’

“Suryongeum(Song of a Dragon in Water)” by saenghwang, danso, yanggeum, ajaeng

가곡을 노래 반주가 아닌 별도의 관악합주로 연주하는 것을 ‘경풍년’이라고 한다. ‘우조 두거’를 경풍년, ‘계면 두거’를 염양춘, ‘평롱’, ‘계락’, ‘편수대엽’을 묶어서 ‘수룡음’으로 부른다. 수룡음은 ‘물속의 용이 읊조린다’는 뜻이며, 곡명에 평화로움이 반영되어 있다. 오늘 연주에서는 한꺼번에 여러 개의 관대에서 소리를 낼 수 있는 생황, 높고 영롱한 소리의 단소, 철사줄의 울림을 가진 양금이 서로 어우러진다.

The wind ensemble pieces of 'Pyeongnong', 'Gyerak', 'Pyeonsudaeyeop' are collectively called “Suryongeum”(Song of a Dragon in Water). Literally meaning 'a dragon in water recites', “Suryongeum” reflects peacefulness in its title. 


02:10 가곡 ‘태평가’ “Taepyeongga”(Song of Great Peace), Gagok song

가곡은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가곡은 고려시대의 ‘정과정곡’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조선후기 풍류방 문화를 주도한 성악곡이다. 원래는 남창과 여창의 구분이 없었으나, 현재는 구분하여 노래한다. 남녀창자가 함께 부르는 유일한 곡이 ‘태평가’이다. 고대 중국에서 태평성대를 누렸다는 요임금과 순임금 시절처럼 태평성대가 되어 평화롭게 노닌다는 내용이다.

“Gagok”(Classical Long Lyric Song Cycle) was designat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10. There was no distinction in the repertories by gender in the past however, there is a distinction at present. “Taepyeongga”(Song of Great Peace) is the only “gagok” piece sung by both the male and female singers.


03:00 대취타 “Daechwita(Military Band Music)"

대취타(大吹打)는 ‘크게 불고 때린다’는 의미이다. 관악기와 타악기 중심으로 악기가 편성되어, 웅장하고 장쾌한 소리를 들려준다. 이 음악은 주로 행진이나 존귀한 분의 거동 시 앞쪽 행렬에서 연주하였다. 소리로서 지나가는 앞길에 있을지도 모를 액운과 액살 그리고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효능이 있다고 믿었다. 집사는 음악의 시작과 끝을 구호와 등채(지휘봉)로 지시하며, 태평소, 나각, 나발, 징, 장구, 자바라, 북 등의 악기가 호응한다. 

Daechwita literally means 'great blowing and striking'. Comprised mainly of wind and percussion instruments, it makes a vigorous and magnificent sound. This music was performed in the procession and parade of a nobleman particularly in the fore section of the procession. This music was believed to be efficacious in the prevention of evil spirits and misfortune that might come into the future. 


03:51 종묘제례악 ‘희문’

종묘제례악은 200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종묘제례악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례를 거행할 때, 연주되는 제례악이며, 왕의 문덕을 칭송하는 보태평 11곡과 무공을 찬양하는 정대업 11곡으로 구분된다.

“Jongmyo Jeryeak”(Royal Ancestral Ritual in the Jongmyo Shrine and its Music) was designated as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01. As the ritual music performed for memorial services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where the tablets of deceased kings and queens are enshr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