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밤 로고

참여프로그램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최시영 전시회, 2025 서교청년예술창작스파크 지원작품

문화
  • 장소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로비
  • 운영기간
    2025-04-08(화) ~ 2025-08-23(토)
  • 이용시간
    화-토: 10:00 ~ 21:00 / 일: 10:00 ~ 17:00, 월요일은 휴관)
  • 이용대상
    전체관람가
  • 요금
    무료
  • 문의처

상세소개

 최시영 전시회, 2025 서교청년예술창작스파크 지원작품 


2025 서교청년예술창작스파크는 시각예술의 최시영 작가가 전시회로 스타트를 알립니다!

 

2025. 04. 08-23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로비  화-토 10:00-21:00/일 10:00-17:00  2025 서교청년예술창작스파크 지원 작품  시영 개인전  펼 신(申); '거듭', '이야기', '아니다'  쏠발(發); '활을 쏘다'. '피다', '떠나다

 

기   간 : 2025.4.8-4.23  (화-토: 오전 10시-오후 9시/ 일: 오전10시-오후 5시, 월요일은 휴관) 
장   소 :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로비
비   용 :무료관람


전시 서문 
'어디까지가 사회의 생각이고 또 나의 생각인지.' 내가 발을 딛고 있는 이 곳의 신발은 어떤 형태인가? 시영은 사회 편향적인 관념들이 자아내는 색과 형태를 사용하여 그 사이 목도되는 불편한 감각들을 시각화한다. 그 범위의 인식과 함께 개인이 개인을 위한 감정을 헤아릴 시공간의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개인들'을 위해 작업한다. 그녀의 작업들은 이데올로기적인 관념들에 휘둘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만 직시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근육과도 같다. 흘러가는 시간 속, 이곳에서나마 잠시 개인 그자체의 감정과 생각의 형태를 어루만질 수 있는 시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시영은 제3자로서의 개인들이 개인 그대로의 존립이 가능할 수 있도록 불편한 감각들을 꺼내어 표면화 시키고자 한다.


- 매체에 관하여 : Fabric/Abstraction 
우리가 피부처럼 몸에 맞대고 살아가는 천이라는 매체는 물리적으로도 인간의 삶과 아주 맞닿아 있다. 항상 맞닿아 있는 만큼 딱 사회가 제안하는 그 만 치의 얄팍한 관념들의 무게를 담고 있는 듯하다. 물리적으로 족하면 끝인 것으로 이미 존재하는 관념들 사이로의 무한한 행진, 퍼레이드 그 자체다. 그 사이 기존의 관념들은 지루하리만큼 굳건히 내려앉아 가고 있다는 걸 다채롭게 보고 갔으면 하는 마음이다. 개인의 삶에서 보고 느끼고 싶은 것이 그저 다수의 입맛에 맞도록 꾸며진 연례 퍼레이드인가 생각해 보면 좋겠다. 천이 아니라 그 장막 사이를 보아야 자신을 열려있는 사람이라고 자부할 수 있을 것이다. 아, 캔버스도 천이다. 우리는 '회화'라는 창구를 통해 천 위에 오래 간직하고픈 가치나 형상들을 담아오곤 했다. 시영이 천과 회화라는 매체를 구현하는 이유다.

 

 

 

자료출처 : 서울생활문화센터 서교 홈페이지


 ※ 해당 행사 상세 정보는 상단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에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위치안내

  • 주소
    서울 마포구 양화로 72 효성해링턴타워 지하1층, 지하2층

관광명소

관광명소 –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로 구성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

* 해당 정보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에서 제공하는 관광 명소 정보입니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1050/S/1/datasetView.do)

관광음식

관광음식 –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로 구성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

* 해당 정보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에서 제공하는 관광 명소 정보입니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1050/S/1/datasetView.do)

관광쇼핑

관광쇼핑 –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로 구성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

* 해당 정보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에서 제공하는 관광 명소 정보입니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1050/S/1/datase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