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밤 로고

참여프로그램

[세종문화회관] 25세종시즌 [퉁소소리]

문화
  • 장소
    세종문화회관 세종M씨어터
  • 운영기간
    2025-09-05(금) ~ 2025-09-28(일)
  • 이용시간
    홈페이지 참고
  • 이용대상
    2018년 이전 출생자 관람 가능 (2018년생 포함)
  • 요금
    R석 60,000원 S석 50,000원 A석 40,000원
  • 문의처

상세소개

[세종문화회관] 25세종시즌 [퉁소소리] 2025 백상예술대상 백상연극상 2025. 9.5Fri-9.28Sun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Toongso Whistles 서울시극단 2025 백상예술대상 백상연극상 2025 대한민국 국가브랜드대상 문화부문 대상 2024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올해의 연극 베스트3' 모든 장면이 살아 숨 쉬는 완성도 높은 작품 - 한국연극평론가협회 - 전 세대를 아우르는 가장 한국적인 연극 - 백상예술대상 - 해학적 말맛, 기세 넘치는 무대, 빠른 전개 - 중앙일보 - 쉽고 대중적이고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작품 - 뉴스핌 - 다시 돌아온, 조선판 블록버스터 연극 2024년 초연 당시 관객과 평단에게 '단연코 최고의 연극'이란 평을 받은 작품 조선, 중국, 일본, 베트남까지 동북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30년간의 대여정 20명의 출연진, 6인조 국악 밴드가 풀어내는 다채로운 무대 조선시대 평범한 어느 가정이 겪은 파란만장 대서사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속에서 피어난 순수한 사랑과 이별 그리고 재회 이별과 좌절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꿋꿋이 살아가는 감동의 이야기 고선웅 연출과 20명의 출연진이 풀어내는 '최척전' 교과서에 나오는 조위한의 고소설 '최척전'을 고선웅의 각색, 연출로 무대 위에서 새롭게 풀어냄 독보적인 존재감의 노장배우 이호재, 팔색조 매력의 정새별, 뚝심의 박영민과 열세 명의 배우들 그리고 서울시극단원 강신구, 김신기, 최나라, 이승우가 펼치는 무대 줄거리 살아 있으면 좋은 일이 생긴다 최척은 옥영과 혼인을 약속했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나 이별하게 된다. 우여곡절 끝에 재회하여 아이도 낳고 행복하게 살기도 잠시, 정유재란이 일어나며 최척 일가는 또다시 헤어진다. 최척은 중국에서 떠돌고, 옥영은 일본에서 떠돌다 기적처럼 다시 만난다. 하지만 또 다시 반란이 일어나고 최척과 옥영은 다시 긴 이별을 하는데... 등장인물 노최척 이호재 파란만장한 최척의 일생을 담담하게 들려준다. 옥영 정새별 최척의 아내, 전쟁으로 일본배를 타고 떠돌면서 가족과의 재회를 기다리는 강인한 여성이다. 최척 박영민 전쟁으로 가족과 헤어지지만, 재회를 향한 희망을 놓지않는다. 심씨의 장연익 최숙의 강신구 정생원의 김신기 홍도이모의 류주연 호옹의 오현우 홍도의 최나라 진위경의 이원희 해적장의 전재형 돈우의 박장면 양씨의 이승우 의병장의 민경석 몽석의 윤준호 주우의 김용준 몽선의 최아론 의병의 최민혁 춘생의 박예리 묵자장의 이석중 공연정보 장소 Venue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Sejong M Theater 티켓 Ticket R 60,000원 S 50,000원 A 40,000원 일정 Date 9.5.(금) - 9.28.(일) 화수목금 19:30 토일 15:00 *월요일 공연 없음 연령 Age 2018년 이전 출생자(2018년생 포함) 제작진 원작 최척전 Tale of Choe Cheok 각색·연출 고선웅 Koh Sun-woong 무대디자인 김대한 Kim Dae-han 조명디자인 박성희 Park Sung-hee 의상디자인 김지연 Kim Ji-yeon 분장디자인 박효정 Park Hyo-jeong 소품디자인 음악 곽내영 Gwak Nae-young 음향디자인 장태평 Jang Tae-pyeong 무대감독 김단경 Kim Dan-kyung 김동균 Kim Dong-kyun 서울시극단 소개 서울시극단은 시민의 문화수요 충족과 수준 높은 연극의 향유를 위해 1997년 창단되었습니다. 공공성과 미학, 보편적 주제를 통한 대중적 가치를 지향합니다. 이미 검증된 고전극부터 장르를 넘나드는 각색극, 다른 시선으로 동시대를 바라보는 창작극, 온 가족이 함께 보는 가족극 등을 올렸습니다. 또한 연극의 저변확대를 위해 시민연극교실을 운영하고 신진예술가를 발굴하여 창작 환경의 개선에도 활력을 불어 넣었습니다. 앞으로도 시민들과 같이 생각하고 같이 울고 웃으며 옛날의 향수와 현재의 체감, 다가올 미래에 대한 기대와 긴장감을 함께 공유하겠습니다. 시민이 감동하는 우리 연극의 표준과 미학을 지켜가겠습니다.

 

자료출처 :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
 
 ※ 해당 행사 상세 정보는 상단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에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위치안내

  • 주소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175

관광명소

관광명소 –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로 구성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

* 해당 정보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에서 제공하는 관광 명소 정보입니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1050/S/1/datasetView.do)

관광음식

관광음식 –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로 구성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

* 해당 정보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에서 제공하는 관광 명소 정보입니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1050/S/1/datasetView.do)

관광쇼핑

관광쇼핑 –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로 구성
관광지 위치 문의전화 홈페이지

* 해당 정보는 서울열린데이터광장 에서 제공하는 관광 명소 정보입니다. (https://data.seoul.go.kr/dataList/OA-21050/S/1/datase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