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검색
새소식
문화 해피투게더, 함께하는 문화체험

공지사항

서울 8월의 문화재는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 · 보신각 터”

  • 등록일 2021-08-13
  • 작성자 관리자

□ 서울시는 지난 2월부터 매월 이달의 서울 문화재를 선정하고 소개하고 있다. 일본에서 열린 올림픽으로 시끌벅적한 요즘, #일본, #올림픽 두 단어로 설명할 수 있는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 ?보신각 터를 8월 이달의 문화재로 선정하였다.

1. 서울 앨버트 테일러 가옥(딜쿠샤) ※ 국가등록문화재(2017.8.8.)지정

□ 딜쿠샤는 1919년 3.1운동을 전세계로 타전한 광산사업가이자 연합통신 임시특파원이었던 앨버트 테일러와 그의 아내가 살던 집으로, 산스크리트어로 “기쁜 마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앨버트 테일러는 1919년 ‘3.1독립선언’과 ‘제암리 학살사건’을 외부에 알려 일제의 만행을 전 세계에 전파하였다. 특히 세브란스 병원 침상에서 발견한 3.1독립선언서 사본을 갓 태어난 아들의 침대 밑에 숨겨 두었다가 일제의 눈을 피해 외신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렸다.

○ 서울시는 장기간 방치되고 훼손된 딜쿠샤를 복원하여 2021년 3월 ‘딜쿠샤 전시관’을 개관했다. 일제강점으로 혹독했던 그 시절, 이방인의 한국 사랑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2. 손기정 월계관 기념수 ※ 서울특별시 기념물(1982.11.18.)지정

□ 1936년 8월 9일, 베를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우승을 했던 손기정선수에게 부상으로 수여된 월계관 기념수로, 당시 시상대 위에 선 손기정선수는 해당 묘목으로 가슴에 있던 일장기를 가렸다.

○ 손기정선수를 기억하기 위해 손기정의 모교(양정고등보통학교)가 있던 자리에 조성된 손기정 체육공원에는 마라톤에서 우승하고 부상으로 받은 월계관 기념수가 심어져 있다.

○ 월계관 기념수와 더불어 손기정 기념관, 동상등이 함께 자리하고 있는 손기정 체육공원은 방문하는 시민에게 그날의 감동과 아픈 역사를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3. 보신각 터 ※ 서울특별시 기념물(1990.6.18.)지정

□ 조선시대 도성의 문을 열고 닫는 시간과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종을 쳐서 알렸던 장소였던 보신각. 현재는 1979년에 재건한 누각과 1985년에 새로 제작한 보신각 종을 만나볼 수 있다.

○ 1395년(태조4년) 처음 설치한 종루는 옛 서울의 중심부인 지금의 인사동 위치에 있었으나 태종때 현 위치로 옮겼다. 세종 때에 초대형 누각으로 지었으나, 전란과 화재 등으로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거듭하면서 규모가 작아져 조선 후기에는 단층 전각이 되었다.

○ 이 건물은 종고루, 종각, 인경전 등으로 불리었는데, 1895년(고종32년)에 보신각이란 사액을 내린데서 이름이 지어졌다.

○ 현재의 보신각은 1979년에 서울시에서 재건하였고, 보신각 종 또한 1985년에 제작한 것으로 그해 광복절에 처음 타종하였다. 옛 보신각 동종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날 수 있다. 서울시는 매해 3.1절, 8.15 광복절, 제야의 날에 보신각에서 타종행사를 거행하고 있다.

□ 이희숙 역사문화재과장은 “무더위와 코로나19로 힘든 여름을 보내고 있는 지금, 서울시민에게 ‘이달의 서울문화재’가 잠시나마 마음의 문화휴식처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맞춤 문화정보

기간의 맞춤 문화정보입니다.

분야별 선택항목: 지역별 선택항목: 연령별 선택항목: 비용별 선택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