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2025 서울예술교육랩> 신규 프로그램 공모
▶ 인공지능(AI)등 기술 결합한 새로운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총 1억 1천만 원 지원
▶ 문화접근성 낮은 은둔고립, 장애인 등 맞춤 설계로 신체?경제?사회적 제약 보완 장치 필수
▶ 연구단계별 지원 체계성 고도화, 예술(교육)가 2인 이상 그룹이나 단체 신청 가능해
▶ 서울문화예술지원시스템(SCAS) 통한 온라인 접수… 오는 26일부터 7월 14일까지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인공지능(AI) 등 최신 기술과 결합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예술 접근성이 낮은 시민과의 문화 접점을 넓힐 <2025 서울예술교육랩> 공모를 오는 26일(목)부터 7월 14일(월)까지 진행한다.
<2025 서울예술교육랩>은 급변하는 환경과 동시대 사회 이슈에 시의성과 실험성을 갖춘 선도적인 문화예술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독려하는 서울문화재단의 예술교육 기획 사업으로 총 1억 1천만 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인공지능(AI)을 포함한 기술에 주목해, 기존 예술교육 형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집중했다. 아래 3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한 예술교육 아이디어를 선정해 이후 프로그램 개발까지 전 과정을 지원한다. ▲은둔고립 청년, 장애인, 노인, 이주민 등 ‘문화예술 접근성이 낮은 시민’을 대상으로 참여자가 창작 경험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 ▲온라인 참여와 확산을 위한 웹앱(웹 애플리케이션, 별도의 설치 없이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등 플랫폼의 필수 사용으로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참여 가능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신체, 경제, 사회문화적 제약을 보완하는 장치를 반영해야 한다.
특히 참여자의 성장을 돕기 위해 지원 방식을 1~3단계에 걸쳐 다양한 시도와 실험을 체계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했다. ▲‘1단계-기초랩’은 웹앱을 필수로 사용해 온·오프라인 활동이 가능한 프로그램 아이디어 제안에 1백만 원을 지원하고, ▲‘2단계-심화랩’은 ‘1단계-기초랩’에서 선발한 10개 팀이 한 달간의 연구 기간을 거쳐 발전시킨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최종 3개 팀을 선정해 팀당 최대 4천만 원을 지원한다. ▲‘3단계-결과발표’는 올해 11월 진행하는 ‘서울문화예술교육 주간’과 연계해 프로그램 연구·개발 결과를 다방면으로 확산할 수 있는 공유의 장을 마련하여 향후 정책적 확산을 위한 계기로 삼는다.
신청 자격은 문화예술 또는 예술교육 콘텐츠 기획과 기술 구현 역량을 가진 문화예술·예술교육 분야의 단체 또는 예술가·예술교육가 등 최소 2인 이상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그룹이며, 기술 개발자 1인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문화재단 누리집(www.sfac.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