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검색
영상
방구석 1열, 즐감 1순위

인터뷰

서울공예박물관 한국-오스트리아 현대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 티저  SeMoCA

서울공예박물관 한국-오스트리아 현대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 티저 SeMoCA

  • 영상출처
    SeMoCa TV
  • 등록일
    2024-05-25

※ 해당 영상 제공처에서 영상 서비스를 중단할 경우 감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장식 너머 발언》은 현대사회의 혼돈과 소통의 부재 속에서 작지만 강력한 발언의 매체가 되는 현대장신구를 소개합니다. 


인류는 기후변화, 팬데믹과 같은 전 지구적 위기 속에서 물질의 가치와 소통의 의미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하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과잉과 결핍, 분노와 무기력 등 비물질적이고 단절된 정서 속에서 우리는 거칠어진 감성에 윤기를 더하고 소통의 대안적 기능으로 다가오는 현대장신구의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과거, 아름다움을 더하거나 부와 권력의 상징이던 장신구는 예술적·철학적·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예술품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장식 너머 발언》은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현대장신구가 보여주는 다양한 형식 실험과 개념적 전위를 다룹니다. 작가 111명(팀)의 작품은 신체와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것을 시작으로 심상 속에 투영된 자연을 담는가 하면 다양한 시공간에 얽힌 담론을 표출합니다. 장식을 넘어 제작자와 착용자의 정체성과 개성을 드러내는 현대장신구의 세계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Beyond Adornment》 presents contemporary jewellery as a vehicle for powerful voices in the midst of social chaos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During global cris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pandemic risks, mankind has had to reassess the significance of materialistic value and communication. As we become non-materialistic and emotionally isolated in a society divided into excess and shortage, outrage and indifference, there is a need to stimulate our dried up emotions and observe new potentials arising in jewellery as an alternative medium for communication. Once confined to the role of elevating beauty or symbolizing wealth and power, jewellery has now been established as an art form that has a voice of art, philosophy, and society.


This exhibition introduces the experiments of various forms and conceptual avant-garde in contemporary jewellery of Korea and Austria. On exhibit are works by 111 artist/artist teams that embody observations of different relations with the body, the use of nature for imagery, and various discourses on time and space. We hope this exhibition become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contemporary jewellery not only as an ornament, but also an art form that epitomizes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 of both the artist and wearer.


한국-오스트리아 현대장신구 교류전
장식 너머 발언
Beyond Adornment
2024.5.28.(화)~2024.7.28.(일)
서울공예박물관 전시1동 3층 기획전시실
 

참여작가 Artists
○ 한국 Korea
강미나 Kang Mina, 강연미 Kang Yeonmi, 고혜정 Ko Hyejeong, 고희승 Koh Heeseung, 공새롬 Kong Saerom, 권슬기 Kwon Seulgi, 김계옥 Kim Kyeok, 김수연 Kim Sooyeon, 김승희 Kim Seunghee, 김신령 Kim Shinryeong, 김연경 Kim Yeonkyung, 김용주 Kim Yongjoo, 김재영 Kim Jaeyoung, 김정후 Kim Junghoo, 김희앙 Kim Heeang, 김희주 Kim Heejoo, 문춘선 Moon Choonsun, 민준석Min Junsuk, 박주형 Park Joohyung, 박지은 Park Jieun, 배준민 Bae Junmin, 서예슬 Seo Yeseul, 성코코 Sung Coco, 신혜림 Shin Healim, 심현석 Sim Hyunseok, 엄유진 Um Youjin, 오세린 Oh Serin, 우진순 Woo Jinsoon, 유리지 Yoo Lizzy, 윤덕노 Yoon Dukno, 윤상희 Yun Sanghee, 윤지예 Yun Jiye, 이광선 Lee Kwangsun, 이남경 Lee Namkyung, 이동춘 Lee Dongchun, 이소리 Yi Sohri, 이슬기 Lee Seulki, 이승열 Lee Sungyeoul, 이요재 Lee Yojae, 이유진 Lee Youjin, 이정규 Yi Jung-gyu, 임종석 Lim Jongseok, 전용일 Jeon Yong-il, 전은미 Chun Eunmi, 정령재 Jung Ryungjae, 정준원 Jung Junwon, 정지민 Chung Jeemin, 정호연 Chung Hoyeon, 조민정 Cho Minjung, 조성호 Cho Sungho, 주예경 Choo Yaekyung, 최재욱 Choi Jaewook, 한주희 Han Joohee, 홍지희 Hong Jihee
 
○ 오스트리아 Austria
에바 아푸스 Eva Afuhs, 엘리자베트 알텐부르크 Elisabeth Altenburg, 안드레아 아우어 Andrea Auer, 앤드아이 AND_i, 이졸데 바움하클-오스발트 Isolde Baumhackl-Oswald, 블레스 BLESS, 존야 비슈어 Sonja Bischur, 수잔네 블린 Susanne Blin, 군다 마리아 칸콜라 Gunda Maria Cancola, 엘리자베트 제이. 구. 데프너 Elisabeth J. Gu. Defner, 페트르 드보르자크 Petr Dvorak, 베네딕트 피셔 Benedikt Fischer, 베레나 포르마네크 Verena Formanek, 피아 그로 Pia Groh, 우르줄라 구트만 Ursula Guttmann, 엘리자베트 하비히 Elisabeth Habig, 안드레아 막사 할름슐라거 Andrea MAXA Halmschlager, 수잔네 함머 Susanne Hammer, 마르기트 하르트 Margit Hart, 브리기테 하우벤호퍼-잘리치테스 Brigitte Haubenhofer-Salicites, 안나 하인들 Anna Heindl, 크리스티안 회들 Christian Hoedl, 알렉산드라 호퍼 Alexandra Hofer, 파울 이비 Paul Iby, 울리케 요한젠 Ulrike Johannsen, 베아트릭스 카우프만 Beatrix Kaufmann, 미셸 크래머 Michelle Kraemer, 가브리엘레 쿠체라 Gabriele Kutschera, 브리기테 랑 Brigitte Lang, 에리카 라이트너 Erika Leitner, 자클린 아이. 릴리 Jacqueline I. Lillie, 게르티 마하체크 Gerti Machacek, 도리스 마닝거 Doris Maninger, 테레자 마코우레크 Theresa Macourek, 프리츠 마이어호퍼 Fritz Maierhofer, 슈테피 모라베츠 Stephie Morawetz, 마르티나 뮐펠너 Martina Mühlfellner, 아니타 뮌츠 Anita Münz, 빅토리아 뮌츠커 Viktoria Münzker, 만프레트 니슬뮐러 Manfred Nisslmüller, 파울라.파울 paula.paul, 나디네 프람하스 Nadine Pramhas, 콘스탄체 프레히틀 Konstanze Prechtl, 볼프강 라스 Wolfgang Rahs, 울리히 라이트호퍼 Ulrich Reithofer, 안나 리스 Anna Riess, 에바 슈마이저-차디아 Eva Schmeiser-?adia, 베르너 슈마이저 Werner Schmeiser, 베로니카 슈바르칭거 Veronika Schwarzinger, 이나 자이들 Ina Seidl, 페터 스쿠비크 Peter Skubic, 클라우디아 슈타이너 Claudia Steiner, 베른하르트 슈팀플-아벨레 Bernhard Stimpfl-Abele, 에바 테자리크&비르기트 비징거 Eva Tesarik&Birgit Wiesinger, 발트루트 피뵈크 Waltrud Viehböck, 울리케 체에트바우어-엥겔하르트 Ulrike Zehetbauer-Engelhart, 페트라 침머만 Petra Zimmer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