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역사박물관(관장 김용석)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3호 ‘성제묘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聖帝廟 巫神圖?關雲長 夫婦 肖像)’ 에 대한 정밀조사를 시작으로 1년여 간의 과학적 보존처리를 거쳐 제작 당시의 원형으로 복원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 은 서울특별시 중구 방산동에 위치한관우(關羽)의 사당인 성제묘에 있던 무신도 중 한 점이다. 관우신앙이 절정에 달한 19세기 말에 궁중화원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귀중한 유물이다.
※관우신앙 : 관우는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 장군으로 소설 ‘삼국지연의’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 관왕으로 널리 숭배되었다. 임진왜란 시 명군을 통해 유입되어 선조대에 관우의 사당인 남관왕묘와 동관왕묘가 세워졌고, 이후 고종대에 북관왕묘와 서관왕묘가 세워졌다. 왕이 직접 의례에 참여하였고, 고종년간에 이르면 국가제사에 편재되었다. 20세기 초부터는 기복적인 성격이 강화되어 민간에 확산되었다.
□ 성제묘 무신도는 모두 10점으로, 2017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03호로 지정된 후, 2018년 서울역사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성제묘 무신도의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2019년에 성제묘 무신도의 보존상태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의 가치와 특징
□ 국가주도의 관우신앙이 절정에 달했던 19세기 말~20세기 초반의 관우도는 10여 점 내외이다. 이번에 공개된 서울역사박물관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에서 붉은 얼굴, 긴 수염, 길게 찢어진 눈으로 표현된 관우는 일월오봉도를 배경으로 익선관, 붉은 곤룡포를 입고 부인과 함께 한 화폭에 그려졌다. 조선 왕의 이미지를 담고 있는 조선식 관우도상이 보이고 있으며, 특이한 구도와 화려한 채색 기법 등이 돋보이는 유물이다.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은 조선시대 관우신앙 무신도를 이해할 수 있는 민속학과 미술학적 가치도 높은 유물이다.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해 원형 복원
□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은 종이에 천연안료로 채색되어 있는 족자이다. 인수 당시 종이의 산성화, 가로방향으로 꺾임이 많이 확인되었으며, 오염물질에 의한 얼룩과 촛농 부착, 접착제 약화로 인한 들뜸 현상 등이 있었다. 특히, 장황의 일부가 개장되어서 긴급한 보존처리와 제작 당시의 원형으로 복원이 필요한 상태였다.
※ 장황 : 글과 그림을 감상이나 보관을 위해 족자·병풍·두루마리·책·첩 등의 형태로 꾸며 주는 것
※ 개장 : 장황을 다시 함
□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의 보존처리는 회화유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안료 조사, 재질분석, 제작방법 연구 등 과학적인 조사 및 분석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 사용되었던 종이와 재질의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일한 재료와 전통 접착제인 소맥전분 풀을 사용하여 없어진 부분을 복원하였다. 건·습식 크리닝으로 오염을 제거하여, 원래의 색을 되찾았다.
○ 조사와 해체 과정에서 원본 위에 쪽색 종이를 상·하단에 덧대면서 원형이 상당부분 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분리하여 제거하고, 제작 당시의 원형으로 복원하였다.
○ 족자에 사용된 장식품인 고리, 유소, 축은 모두 원형이 보존되어 있었다. 부식과 열화가 발생된 고리와 유소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고증을 통하여 새롭게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 소맥전분 풀 : 밀가루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야기하고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단백질 등을 제거한 전분만을 사용하여 제작한 보존성이 좋고 가역성이 있는 전통 접착제
□ 특히, 안료 분석 결과 회화 중 다소 격이 낮은 무신도임에도 불구하고 채색 재료 중 고급 안료인 석록과 석청이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 시기의 최고급 안료가 사용된 것으로 보아 궁중화원에 의해 그려진 것이 추정이 아닌 확인되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 석록과 석청은 고가의 안료로 주로 궁궐과 관련된 채색화나 양반들의 초상화 채색에 주로 사용됨.
□ 김용석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이번에 복원한 ‘성제묘 무신도?관운장 부부 초상’은 조선시대 관우신앙을 이해할 수 있는 가치가 높은 유물로서, 당시 사용된 채색 재료 등 중요한 역사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라며 “향후에도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한 중요 유물들의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고 차근차근 보존처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