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검색
새소식
그밖에 궁금한 문화 소식

공지사항

'잠시만 안녕' 북한산성 보국문과 대동문, 30년 만에 전면 보수

  • 등록일 2022-04-06
  • 작성자 관리자
주말에 우이신설선을 이용하면 북한산을 찾은 등산객들을 쉽게 볼 수 있다. 특히, 북한산보국문역은 서울 지하철역들 중 유일하게 북한산성에 있는 문 이름을 딴 역명답게 북한산 정릉분소로 가는 등산객들이 적지 않다. 북한산 정릉분소는 보국문으로 향하는 등산 코스로 유명하다. 또한 수년간 우이신설선을 이용하는 시민들도 북한산에 있는 보국문을 가지 않더라도 친근하다.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북한산성에 있는 문 이름을 역명으로 사용했다. ⓒ김진흥
우이신설선 북한산보국문역, 북한산성에 있는 문 이름을 역명으로 사용했다. ⓒ김진흥

우이신설선을 통해 시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북한산 보국문, 그리고 북한산성의 동쪽을 책임지는 대동문의 모습을 올해는 만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국가지정 문화재인 북한산성 내 보국문과 대동문에 대해 전면 해체보수공사를 실시한다. 서울시가 1993년 복원한 이후 약 30년 만이다. 공사기간은 4월부터 11월까지다. 
1980년대 촬영된 보국문으로 복원 전 모습이다. ⓒ서울시
1980년대 촬영된 보국문으로 복원 전 모습이다. ⓒ서울시

이러한 결단을 내린 가장 큰 이유는 시민들의 안전 때문이다. 서울시는 1993년 보국문과 대동문을 복원한 이후 현재까지 매년 4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최근 점검에서 두 개의 문은 구조적 불안정 요소와 이상변형 징후를 파악했다. 정밀안전진단을 6개월간(2019.10.~2020.03.) 실시한 결과 보국문은 통로 내벽의 성돌 이음부에 틈새가 약 10cm 정도 벌어졌고 대동문은 목재 기둥이 부식돼 파손이 심하다는 구조적인 위험 요소가 발견됐다.  
1993년 복원 전 대동문 모습 ⓒ서울시
1993년 복원 전 대동문 모습ⓒ서울시

국가지정 문화재인 북한산성(사적 제162호)은 1711년(숙종 37)에 북한산에 쌓은 것으로 북한산의 여러 봉우리를 연결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 유사시에 대비해 조선 수도 한양 외곽에 성을 쌓자는 논의가 대두되면서 만들어진 산성이다. 길이는 12.7km고 내부 면적은 6.2㎢에 달한다. 

성곽시설로는 군사 지휘소인 장대를 3곳(동장대, 남장대, 북장대)에 만들었고 성문 6개소(북문, 대동문, 보국문, 대성문, 대남문, 대서문), 암문(暗門) 6개소, 수문 1개소를 두었다. 
북한산성 보국문, 안전진단결과 구조적 위험 요소가 발견돼 보수공사가 진행된다. ⓒ김진흥
북한산성 보국문, 안전진단결과 구조적 위험 요소가 발견돼 보수공사가 진행된다. ⓒ김진흥

해발 562m에 위치한 보국문(輔國門)은 북한산성의 동남쪽에 있는 문으로 북한산성이 축성되면서 같이 만들어졌다. 문 안쪽에 새겨진 글귀를 보면 금위영에서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금위영은 오늘날 대한민국 육군수도방위사령부 역할을 했다. 

보국문은 대성문과 대동문 사이에 있는 암문이었다. 초기에 동암문(東暗門)으로 불렸다. 암문은 평상시에는 백성들의 출입문으로 이용됐고 전쟁 때는 비밀통로로 사용됐다. 그렇다보니 보국문에는 상부에 문루가 없다. 

그런데 시간이 흐른 후, 보국문 근처에 보국사가 지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암문이 아닌 보국문으로 불렀고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 수비를 위해 창건된 사찰 13개 중 하나인 보국사는 현재 빈터만 남아 있다. 
산성 내부에서 바라본 보국문ⓒ김진흥
산성 내부에서 바라본 보국문ⓒ김진흥

보국문 내부는 습기로 가득찼다. 돌과 돌 틈에서 물이 뚝뚝 떨어졌다. 성 내부에 있는 돌들은 하나같이 축축했다. 성문 위 빗물이 유입되거나 돌 틈에서 얼었던 것이 녹은 것이다. 보국문은 수십 년간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틈 사이 간격이 점점 벌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돌 틈 사이로 떨어지는 물로 인해 문 내부는 매우 습하고 갈라져 있다.ⓒ김진흥
돌 틈 사이로 떨어지는 물로 인해 문 내부는 매우 습하고 갈라져 있다.ⓒ김진흥
3월말이지만 북한산성 내부는 여전히 겨울이다.ⓒ김진흥
3월말이지만 북한산성 내부는 여전히 겨울이다.ⓒ김진흥

보국문을 중심으로 성 외부와 내부 온도가 다른 것도 보국문 내 습기에 한몫했다. 3월말 기준으로 몇 주 전에 서울에 눈이 내렸다. 시간이 꽤 흘렀지만 정릉에서 보국문으로 향하는 성 외부에는 눈이 대체적으로 녹은 반면 성 내부는 여전히 눈으로 가득했다. 보국문 내부에서 떨어진 물이 성 외부로 흘렀을 때는 증발돼 사라지지만 성 내부로 흐르면 얼음이 됐다. 즉, 보국문에서 성 외부는 봄이었고 성 내부는 겨울이었다. 

틈이 더 벌어진다면 붕괴 위험까지 일어날 수 있다. 서울시는 보국문은 성곽 전체를 해체해 재설치하고 성문 위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로를 보완하고 정비할 계획이다. 
북한산성 대동문 보수공사는 30년만에 진행된다. ⓒ김진흥
북한산성 대동문 보수공사는 30년만에 진행된다. ⓒ김진흥

해발 540m에 위치한 대동문은 북한산성의 동쪽에 있는 성문이다. 북한산성 성문들 중 동쪽을 대표한다. 산성이 축성된 1711년에 지어진 것으로 서울의 동북쪽 수유동과 우이동을 연결하는 관문이다. 초기에는 소동문(小東門)으로 불렸다. 

대동문은 대남문, 대성문과 함께 홍예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홍예문은 문의 윗부분을 무지개 모양으로 반쯤 둥글게 만든 문을 말한다. 다만 대동문의 홍예문이 북한산성의 다른 문들에 비해 가장 크고 웅장하다. 

보국문과 함께 대동문도 1993년에 새로 복원됐다. 이전에는 대동문 문루가 소실되는 등 오늘날에 비해 초라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서울시가 완벽히 복원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됐다. 
대동문 내부 넓은 공터. 이전에는 많은 등산객들이 쉬었던 장소지만 지금은 코로나19로 인해 휴식을 취할 수 없다.ⓒ김진흥
대동문 내부 넓은 공터. 이전에는 많은 등산객들이 쉬었던 장소지만 지금은 코로나19로 인해 휴식을 취할 수 없다.ⓒ김진흥

대동문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문들과 달리 성 내부에 넓은 공터가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큰 공간이 있는 이유는 금위영 건물과 창고들이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금위영 이건기비'에 1715년 3월 보국사 아래로 옮기기 전까지 금위영 건물과 창고 90여 칸이 소동문(지금의 대동문)에 위치했다고 적혀 있다. 

그렇다 보니 대동문에서는 평소 등산객들이 이곳에서 쉬면서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그 광경을 찾기 어렵다. 코로나 19로 인해 등산객들이 공터에서 쉴 수 없도록 조치를 취한 상태다. 
대동문 문루 목재 기둥이 부식되어 있다. 현재는 안전상 이유로 문루에 들어갈 수 없다. ⓒ서울시
대동문 문루 목재 기둥이 부식되어 있다. 현재는 안전상 이유로 문루에 들어갈 수 없다. ⓒ서울시
산성 내부에서 바라본 대동문. 문 입구에는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다.ⓒ김진흥
산성 내부에서 바라본 대동문. 문 입구에는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다.ⓒ김진흥

대동문은 문루의 목재 기둥이 부식되었고 기와도 손실된 상태라고 한다. 기와가 떨어질 수 있어 문 통로에 임시 펜스를 설치했다. 

서울시는 대동문 문루의 목재 구조와 기와 등을 전면 해체하고 재설치할 예정이다. 손상된 자재들도 교체해 안전하고 튼튼한 대동문으로 보수할 계획이다. 

북한산을 찾은 한 등산객은 “동료들과 대동문에서 함께 김밥을 먹으며 등산을 했던 추억이 있다. 대동문이 보수 공사가 잘 돼서 더 오래 유지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북한산성 성곽 산책로는 경사가 높아 오르기 쉽지 않은 코스다. 눈이 녹지 않아 길이 미끄러워 상당히 위험하다. 좀 더 따뜻해질 때 방문하는 걸 추천한다.ⓒ김진흥
북한산성 성곽 산책로는 경사가 높아 오르기 쉽지 않은 코스다. 눈이 녹지 않아 길이 미끄러워 상당히 위험하다. 좀 더 따뜻해질 때 방문하는 걸 추천한다.ⓒ김진흥

현재 보국문과 대동문은 많이 낙후됐다. 시민의 안전을 위해 손을 봐야 할 상황이다. 그러므로 올해는 두 개의 문의 온전한 형태를 보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잠깐 헤어지는 이 시간은 북한산성과 시민들이 더 길게 함께 하기 위한 과정이다. 보수 공사가 잘 되어 시민들에게 다시 추억을 선사하는 장소가 되길 희망한다. 

맞춤 문화정보

기간의 맞춤 문화정보입니다.

분야별 선택항목: 지역별 선택항목: 연령별 선택항목: 비용별 선택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