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알마티 박물관과 함께한 국제교류전 <패션 오브 서울>展, 대중음악으로 서울의 젊은이와 생활모습을 살펴보는 서울생활사박물관 <서울의 젊은이와 대중가요>展, 멸종위기 식물과 청계천의 생태적 가치를 조명하는 청계천박물관 <우리를 지켜주세요>展, 19세기 선비의 눈을 통해 본 한양도성박물관 <순성기행>展, 대한민국 대표 배우 '이정재'와 함께한 인터뷰 내용까지 다양한 소식을 만나보세요.
세종문화N 13호 이야기를 춤추다, 셰익스피어 텍스트와 발레 / 상상과 환상 그 이상 / 동시대 관객을 위한 컨템퍼러리 발레 마스터피스 / 공연 생태계의 여름으로 반추한 한국 발레의 성장 가능성 / 우리 시대 오페라의 정수를 만나다 / 정통성을 관통한 동시대의 감각 연출가 표현진 / 변종하, 당대 최고 화가의 최대작
2024 제6회 서울국악축제', '서울거리예술축제 2024', 세종문화회관 연극 '트랩 Trap', 시민청 시즌프로그램 '당신의 낮, 우리의 밤', 서울시립교향악단 '2024 서울시향 파크콘서트' 등 2024년 9월에 진행되는 공연, 전시, 체험 3개분야 18개 문화 행사 정보 제공
이번 호에는 수많은 얼굴이 있습니다. 소휘의 동화, 이승은의 소설, 최예솔의 소설, 이실비와 안현미의 시에는 아른거리는 얼굴들이 있습니다. 그밖에 윤미희와 이혜미의 음식 사진을 통한 대화, 김형중의 비평가로서의 실무 노트, 박혜진의 비평, 안희제의 '요즘 이야기', 김봉현과 이아름의 '비평 교환' 등의 글을 발행합니다. 동시대의 단일한 얼굴이란 환상에 가까운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세상의 얼굴을 뚜렷하고 맑은 눈으로 바라보고 싶습니다. 어떤 얼굴은 간혹 언젠가 내가 지었던 표정을 닮았기 때문입니다. 이번 호에 실린 글들을 통해 이 글을 읽는 당신의 얼굴을 마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