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각 종의 탄생 과정을 살펴보는 공평도시유적전시관 기획전 <보신각, 시간의 울림>, 서울 지하철 개통 50주년 기념으로 서울역사박물관과 서울교통공사가 함께 진행한 <서울의 지하철>, 서울 가족 삼대의 결혼 이야기를 보여주는 서울생활사박물관 <서울 가족 삼대의 결혼이야기> 전시 이야기부터 우리에게는 생소한 보토소 조사연구 스토리, 한중일 국제 심포지엄 <박물관 교육의 혁신과 미래 발전> 이야기까지 다양하고 재미있는 소식을 만나보세요.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고전 한강노들섬클래식] ‘예술섬 노들’이 무대가 되고, 노랗고 빨간 노을이 조명으로 드리우면 한강노들섬클래식이 막을 올립니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고전’을 기치로 야외 클래식 공연 향유의 새 시대를 열고자 하는 올해, 한강노들섬클래식이 준비한 무대를 만나보세요.
이야기를 춤추다, 셰익스피어 텍스트와 발레 / 상상과 환상 그 이상 / 동시대 관객을 위한 컨템퍼러리 발레 마스터피스 / 공연 생태계의 여름으로 반추한 한국 발레의 성장 가능성 / 우리 시대 오페라의 정수를 만나다 / 정통성을 관통한 동시대의 감각 연출가 표현진 / 변종하, 당대 최고 화가의 최대작
10월 예술가의 런치박스, 김인순 컬렉션 《일어서는 삶》 전시 연계 콜로키움, SeMA 비평연구 프로젝트 컨퍼런스, SeMA 옴니버스 《제9행성》 전시 연계 어린이 워크숍, 영화로 만나는 미술가들 <뮤지엄나이트>&<명화극장>, 《오픈 에어 뮤지엄_풍납토성》, SeMA 옴니버스 《나는 우리를 사랑하고 싶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 및 강연,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SMB 인터뷰
2024 세종문화회관 10~11월 프로그램 서울시극단 트랩(9.27~10.20), 서울시발레단 더블 빌 한스 판 마넨X차진엽(10.9~10.12), 대한민국국악관현악축제(10.15~10.26), 서울시합창단 낭만적인 낭만(10.17~10.18), 2024 믹스드 오케스트라 조화 그리고 에너지(9.26)
웹진 《비유》 69호: 세상의 얼굴 이번 호에는 수많은 얼굴이 있습니다. 소휘의 동화, 이승은의 소설, 최예솔의 소설, 이실비와 안현미의 시에는 아른거리는 얼굴들이 있습니다. 그밖에 윤미희와 이혜미의 음식 사진을 통한 대화, 김형중의 비평가로서의 실무 노트, 박혜진의 비평, 안희제의 '요즘 이야기', 김봉현과 이아름의 '비평 교환' 등의 글을 발행합니다. 동시대의 단일한 얼굴이란 환상에 가까운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세상의 얼굴을 뚜렷하고 맑은 눈으로 바라보고 싶습니다. 어떤 얼굴은 간혹 언젠가 내가 지었던 표정을 닮았기 때문입니다. 이번 호에 실린 글들을 통해 이 글을 읽는 당신의 얼굴을 마주하고 싶습니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고전 한강노들섬클래식] ‘예술섬 노들’이 무대가 되고, 노랗고 빨간 노을이 조명으로 드리우면 한강노들섬클래식이 막을 올립니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고전’을 기치로 야외 클래식 공연 향유의 새 시대를 열고자 하는 올해, 한강노들섬클래식이 준비한 무대를 만나보세요.
본 메일은 서울시에서 보내드리는 메일로 문화행사 안내에 대하여 회원님께서 수신을 동의하셨기에 발송되었습니다.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로그인 하신 후 회원정보 변경에서 부가서비스를 변경하시거나 수신거부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청 04524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전화번호 : 02)120 Copyright ⓒ 2024.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