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성대로 기억되는 18세기 서울의 모습을 조명한 <태평계태평>展, 보이드(Void)를 통해 본 서울을 재해석한 전시 <서울의 작은 산>展, 1988 서울올림픽의 영광을 기억하며 2036 서울올림픽 재유치를 기원하는 전시 <2036 서울, 두 번째 올림픽>展 부터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처리 이야기, 향토민요 보존을 위한 '민요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볼거리를 만나보세요.
세종문화N 16호 장르별 한눈에 보는 2025시즌 / 프로듀서에게 듣는 시즌 라인업 / 생활 속으로 돌아온 공예문화 / 오하드 나하린, 혁신적 안무가의 귀환 / 코미디, 너무 괜찮다, 연출가 임도완 / 제도의 상징, 양식의 탄생, 예술가의 역사 서울시국악관현악단 60주년 / 극장, 현대미술을 품다
《강명희-방문 Visit》 개막, 김성환 개인전 《Ua a‘o ‘ia ‘o ia e ia 우아 아오 이아 오 이아 에 이아》 연계 워크숍, 2024 타이틀 매치: 홍이현숙 vs. 염지혜 《돌과 밤》, 제13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사전프로그램(프리비엔날레) Ⅱ 「강령을 위한 노트」 영상
매주 금요일, 서울문화재단의 새로운 소식을 발빠르게 전해드립니다. 서울문화재단 소식지 '위클리스팍'! <서울청년문화패스>와 <서울연극창작센터 개관>, <제3회 서울예술상> 시상식을 비롯한 2025년 3월 서울문화재단의 다양한 문화예술 사업 소식과 문화예술계 이슈를 시민들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웹진 《비유》 72호: 이건 내 이야기이기도 해요 '문학은 과거를 기록하고 재현하는 한편 가능한 세계를 펼쳐놓고 새롭게 배치하기도 하죠. 그리고 현재의 행위는 종종 그 경계를 넘습니다. 독자의 ‘협동’은 텍스트를 완결하기보다 계속해서 생성하는 데 기여해요. 그 과정이 때로는 세상을 더 나은 방향으로 살아내는 일이 되기도 할까요? 《비유》를 통해 함께 답해볼 수 있다면 기쁘겠습니다.